맨위로가기

담양 척서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담양 척서정은 조선시대에 건립된 정자이다. 대부분의 정자가 경승지에 위치한 것과 달리 마을 한가운데에 자리 잡고 있어 종회소 겸 교류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3칸 규모의 팔작집으로, 자연스러운 부재 사용과 고격(古格)을 갖추고 있으며, 내부에는 척서정 현판과 시기문 편액 10개가 보존되어 있다. 17세기에 건립되어 여러 차례 중수되었으며, 원래 강호정으로 불리다가 척서정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지역 문화 교류 및 교육의 장으로서 가치를 지니며, 문화유산으로서 보존 및 활용 가치가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담양군의 건축물 - 담양공용버스터미널
    담양공용버스터미널은 전라남도 담양군에 위치하며 고속버스, 시외버스, 농어촌버스 등 다양한 노선의 버스가 운행되는 터미널이다.
  • 담양군의 건축물 - 담양 상월정
    담양 상월정은 전라남도 담양군 월산면에 위치한 조선 시대 건립된 정자로,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조화를 이루며 지역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자 시문학을 즐기던 선비들의 유적지로 활용되었고, 현재는 담양군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는 관광 명소이다.
  • 영천 이씨 - 이호 (법조인)
    이호는 일제강점기 일본 유학 후 법조인으로 활동하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법무부 장관, 내무부 장관, 주일본 대사 등을 역임하고 12·12 군사 반란 이후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장을 지냈다.
  • 영천 이씨 - 이기우 (1966년)
    이기우는 1966년 출생의 정치인으로, 성균관대학교 총학생회장, 국회의원, 경기도 사회통합부지사 등을 역임했으며, 1990년 특수공무집행방해 등으로 징역형을 선고받은 후 특별사면되었다.
담양 척서정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담양 척서정
한자 표기潭陽滌暑亭
담양 척서정 이미지
담양 척서정
국가대한민국
위치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대치리
유형유형문화재
지정 번호270
지정일2005년 2월 26일
시대조선시대
관리영천이씨대치문중
문화재청 ID21,02700000,36

2. 역사

척서정은 17세기에 건립되었으며, 1827년 등 몇 차례 중수되었다. 원래는 강호정이라 불렸으나, 후에 척서정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내부에는 척서정 현판과 시기문 편액 10개가 있는데, 여기에는 척서정에 관한 처음 기록이라 할 수 있는 야은 이정태(野隱 李鼎泰, 1595~1669)의 시 2수, 원운으로 전하는 이인(李璘, 1657년 정유생)의 시, 1849년의 이동욱(李東勖, 1789-1849)의 기문, 1893년의 시와 기문 등이 기록되어 있다.

3. 건축 특징

척서정은 남향으로 자리하며, 정면 3칸, 측면 2칸, 팔작지붕 형태의 무실형 정자이다. 한 단의 낮은 기단 위에 자연석 덤벙주초를 놓고 원주를 세웠다. 원주 위에는 보아지와 단여를 십자형으로 걸치고 그 위에 대량과 납도리를 얹었다. 주두, 소로, 장혀 등은 보이지 않으며, 대량 위에는 판대공을 얹고 종도리를 걸쳤다.

양 측칸의 충량은 안쪽은 대량에 걸고 바깥쪽은 평주와 결구하였다. 천장은 연등천장이며, 여러 곳에 기문이 걸려있다. 마루는 장귀틀과 동귀틀을 엮어 우물마루로 깔았는데 맞춤 부분이 일부 해이해졌으며, 배면에만 낮은 머름이 있으나 풍혈은 없다. 지붕은 팔작지붕의 홑처마이며 지붕 기와도 일부 번와를 하였다.

건물은 충량을 비롯한 서까래와 선자연 등에서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옛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기둥이 싸리나무로 전해지는 것도 있으며, 서까래 등 일부를 수리하거나 기둥을 동바리 보수하고, 장부를 내어 추가한 부재를 연결하는 등 원형을 유지하려 한 모습을 볼 수 있다.

4. 문화적 가치

척서정은 일반적인 조선시대 정자와 달리 마을 내부에 위치하여 지역 문화 교류 및 교육의 장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에서 다른 정자들과 구별되는 특징을 지닌다. 이러한 입지와 성격은 지역 문화 교류 및 교육 공간으로서 척서정의 가치를 보여주며, 주변 공간과의 연계를 통해 고유한 향토 문화를 보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내부에는 척서정 현판과 시기문 편액 10개가 있으며, 이 기록들에는 척서정에 관한 초기 기록인 야은 이정태(1595~1669)의 시 2수, 원운으로 전하는 이인(1657년 정유생)의 시, 1849년 이동욱(1789~1849)의 기문, 1893년의 시와 기문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기록들을 통해 척서정은 17세기에 건립되었으며, 1827년 등 몇 차례 중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원래는 강호정이라 불렸다가 이후 척서정으로 변경되었다는 기록(<광주읍지>, 1879년)도 존재한다.

5. 현대적 의의

척서정은 역사적, 건축적, 문화적 가치를 지닌 문화유산으로, 보존 및 활용 가치가 높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